주니어 서비스 기획자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초개인화가 바꿀 커머스의 미래 1. 서비스 개요출시 배경초개인화 쇼핑 트렌드 확산AI, 빅데이터 기술 발전으로 개인 맞춤형 추천 서비스가 필수 요소가 됨소비자들은 단순 검색이 아닌 취향 기반 상품 추천을 선호 네이버와 분리됨으로써 쇼핑에 최적화기존 스마트스토어는 네이버 플랫폼 내에서 운영되었지만,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는 독립적인 쇼핑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검색 중심이 아닌, 쇼핑 중심으로 최적화된 UI/UX 제공브랜드와 판매자들이 자체적인 브랜딩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 네이버 생태계 강화 전략네이버페이 +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를 연계해 충성 고객을 확보하고 쇼핑 생태계를 확장단순 판매 플랫폼이 아닌, 브랜드 몰 + 콘텐츠 + 개인화 추천을 결합한 새로운 쇼핑 경험 제공 주요 기능AI 맞춤 추천 알고리즘 고도화: .. 개발자 언어 알기 - API API란?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이해를 위한 예시: 나(클라이언트) - API(에어컨 리모컨) - 접근할 프로그램(에어컨) API를 사용하는 이유리모컨을 누를 때 사용자는 에어컨이 어떤 동작을 할지는 알지만 내부 메커니즘은 모른다.API도 마찬가지다. 복잡한 사항들은 가려 놓아도 API 설명서를 잘 따르기만 하면 간편하게 소통할 수 있다. 이렇게 내부 사항들이 가려지만 보안에 도움이 된다.서버나 데이터베이스에는 노출이 금지된 정보가 있을 수 있다.API는 정해진 방식으로만 소통을 허락하기 때문에 외부와 소통하면서도 보안 정보를 잘 숨길 수 있다. 또한 다른 회사에서 이미 만들어둔 API를 그대로 가져와 사용할 수도 있어서 개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어쩌다 보니 서비스 기획자 1. 졸업을 앞둔, 전과 희망자공연영상과 언론정보를 전공한 나는, 졸업하면 관련 학과에 취업할 것이라 생각했다.방송사나 영상 관련 회사나 그런. 4학년이 되어보니 알게 되었다.영상과 언론은 내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졸업을 바로 앞 둔 4학년 2학기,나는 새로운 길을 찾아보기로 했다.2. 고민의 시작너무 막막했다. 가진 경험이라곤 촬영, 연출과 같은 영상 경험과 언론 학회 정도 뿐이라 과와 관련 없는 경험은 거의 0에 가까웠다. 그렇다고 가만히 있을 수는 없었다.가만히 있으면 정해진 길(과와 관련된 직종)로 나가야 하는데, 그렇게 하긴 싫었다. 주어진 학업에 충실히 임하면서 어떤 것이 나와 잘 맞을지 고민했다.영상, 언론쪽으로 취업하는 것이 너무 싫었기 때문에 예전에 인턴했던 마케팅쪽으로 나가야 할..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