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 준비/학습 일지

🌱7주차 두 번째 학습 일지🌱 산출물 [제로베이스 PM스쿨 29기]

와하 - 벌써 7주차 두 번째 학습 일지를 쓰는 날이네요 ^~^

오늘은 프로젝트 기획시 발생하는 산출물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물론~ 전에 강의에서 자세히 한 번씩 다뤄봤기도 했고

실제로 Menu Tree를 제작하는 실무 과제를 하기도 했었는데요!

그래서 이번 강의에서는 조금 가볍게 설명해 주셔서!

복습하는 느낌으로 강의를 들었어요!

한 번 더 산출물에 대해 복습할 수 있어서 더 기억을 잘할 것 같아요 ^~^

 

그 내용을 또 복습까지 하는데 그냥 넘어갈 수 없어서 정리한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내용 정리에 앞서, 하단의 모든 내용은 제로베이스 PM 스쿨 강의를 바탕으로 작성됨을 밝힙니다*

 

 

1. RFP (Request for Proposal)

  • 제안 요청서: 발주자가 특정 과제의 수행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함으로써 제안자가 제안서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문서
  • 필요한 시기 ⇒ 의뢰를 원하는 의뢰 업체가 있고, 이행할 수 있는 공급 업체가 있을 때
  • 주의 사항
    • 가장 적합한 파트너사를 선정하기 위해 정해진 일자까지 제안서 제출을 요청한다
    • 제안사가 작성한 제안서를 기준으로 질문하고, 테스트하고, 검증하는 미팅을 진행한다
    • 원활하고 의미 있는 미팅을 위해 먼저 자신의 기획 의도와 사업 방향성을 분명히 인지하고 이를 아웃 소싱 개발 업체에 전달할 내용을 RFP에 담아야 한다
  • 포함된 내용
    • 개요 (Project 개요, 업무 내용)
    • 일정 (개발 일정)
    • 제안서 내용 (유사 서비스 작업 경험 포폴, 과제 수행 계획, 산출물 리스트, 대략적 배포 일정, 보유 역량/강점, 투입 인력 프로필, 견적서, 파일 타입)
    • 제안 평가 기준 (응답 시한, 제출 시안, 제출 방법, 제출처, 평가 형식)
    • 결과 발표 (결과 통보 방식, 통보 기한 명시)

 

2. 메뉴 구조도

  • Main Structure를 파악할 수 있는 계층적 구조의 메뉴 구조도.
  • 웹/앱 서비스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보여주는 도구
  • Web에서는 그대로 site map이 되기도 한다

 

3. IA(Information Architecture)

  • 정보 구조 설계, 어떤 기능을 하는 화면들이 어떤 뎁스인지 정리한 파일

 

4. Wireframe

  • 화면 단위의 구조(레이아웃)를 설계하는 작업
  • 이해 관계자들과 빠르게 레이아웃, 기능, 콘텐츠들을 협의하기 위해 설계
  • 설계된 정보 구조를 기반으로 화면 구성
  • 빠른 구성요소, 구조 검토와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
  • 작성 Tip
    • 페이지 목적에 집중
    • 요소만 정의(디자인은 디자이너에게)
    • Text는 텍스트 속성으로 작성하거나 하나만 예시로 작성해도 됨 ex. 날짜, YYYY.MM.DD / 시간: HH:MM

 

5. User Flow

  • 실제 사용자들이 구체적으로 이용하는 순서에 따라 화면들이 전개되는지 정의
  • User Flow의 활용 목적
    • 앱의 실행부터 기능이 동작하는 순서, 화면 간 흐름을 제공
    •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
    • 복잡한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
    • 발생할 수 있는 모든 case와 error 체크
  • User 디자인 Digital Tool
    • Sketch, Axure, InVision, Figma, Adobe XD

 

6. Prototype

  • 목적: 처음 접하는 기능 또는 디자인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관찰하기 위해
  • 2차 시안을 완성한 후 거의 최종안에 가까운 디자인으로 UT를 진행
  • 준비
    • 조건을 명확하게 정의한 후, 테스트 대상자를 섭외해야 한다
    • 테스트 도중 검증해야 할 사항들을 미리 정리해 놓는다
    • 참여자는 5명 이상 (Nielson 연구에 따라, 5명만 테스트해도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함)
  • 장점
    • 고객의 의견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 PO나 디자이너가 간과했던 사실들을 효과적으로 확인 가능
    •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예상치 못한 돌발 행동을 하는 곳에서 개선사항을 발견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