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 준비/학습 일지

🌱7주차 세 번째 학습 일지🌱Usability Heuristics [제로베이스 PM스쿨 29기]

안녕하세요 또 돌아왔습니다 ~

드디어 날씨가 가을 날씨가 되었어요....

가을 다 없어지고 여름만 남을까 봐 걱정했는데

이제 더위도 가셨으니

한강으로 놀러가야겠

본격적으로 공부에 집중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사실 PM 스쿨 과제가 끝나가고 있지만,,,ㅎㅎ (아님. 포폴반도 수업도 있음)

 남은 과제도 잘 마무리할 수 있길.... (제발)

 

자 그럼 오늘의 공부 내용 정리 시작해보겠숩니다!

 

오늘의 주제는!!!!

Usability Heuristics

 

Usability Heuristics은 Jacob Nielsen이 고안한 것으로,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되는 10가지 기준입니다.

 

총 10가지가 있습니다.


1. 상태 가시성(Visibility of system status)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현재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합니다. 사용자는 시스템이 어떤 작업을 수행 중인지 알아야 합니다.

ex) 웹사이트에서 파일 업로드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바. 사용자가 파일을 업로드할 때 진행률을 시각적으로 보여주어 현재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합니다.

2. 시스템과 현실의 일치(Match between system and the real world)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친숙한 언어와 개념을 사용하여 실제 세계와 일치해야 합니다. 전문 용어보다는 일반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ex)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담기'라는 버튼.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실제 쇼핑 경험과 일치하도록 합니다.

3. 사용자 통제 및 자유(User control and freedom)

사용자는 실수로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쉽게 되돌릴 수 있어야 합니다. '되돌리기'와 '다시 실행하기' 기능이 중요합니다.

ex) 이메일 클라이언트에서 '삭제' 버튼을 누른 후, '휴지통으로 이동' 옵션을 제공. 사용자가 실수를 했을 때 쉽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일관성 및 표준(Consistency and standards)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는 일관되게 사용되어야 하며, 표준적인 용어와 아이콘을 활용해야 합니다. 일관성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더 쉽게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ex)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일한 아이콘을 사용하여 '저장' 기능을 나타냄. 예를 들어, 모든 프로그램에서 디스크 아이콘을 사용하여 혼란을 줄입니다.

5. 오류 예방(Error prevention)

시스템은 사용자가 실수를 할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중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확인 메시지를 띄우는 것이 좋습니다.

ex) 온라인 양식에서 필수 입력란을 강조하여 사용자가 반드시 입력해야 할 정보를 명확히 합니다. 또한, 잘못된 형식의 입력에 대해 실시간으로 경고합니다.

6. 인식보다 기억하기(Effort in memory)

시스템은 사용자가 기억해야 할 정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필요한 정보는 항상 화면에 표시되어야 하며, 사용자는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ex) 대시보드에서 최근 사용한 기능이나 설정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재사용할 때 기억할 필요 없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7. 유연성과 효율성(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use)

다양한 사용자 수준에 맞춰 시스템을 유연하게 설계해야 합니다. 숙련된 사용자는 단축키 등을 통해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ex) 코드 편집기에서 단축키를 제공하여 숙련된 사용자들이 더 빠르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복사, 붙여 넣기 단축키입니다.

8. 미학과 단순성(Aesthetic and minimalist design)

불필요한 정보나 요소를 제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혼잡한 디자인은 사용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ex) 애플의 홈페이지는 간결하고 깔끔한 디자인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합니다. 불필요한 요소가 없어 집중할 수 있습니다.

9. 오류 인식 및 회복(Error recognition and recovery)

사용자가 오류를 경험했을 때, 시스템은 명확한 오류 메시지를 제공하고, 문제 해결 방법을 안내해야 합니다.

ex) 온라인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실패 시, 명확한 오류 메시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다시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10. 도움 및 문서(Help and documentation)

사용자가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문서나 도움말이 있어야 하며, 이를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ex)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서 '도움말'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FAQ 페이지나 사용 설명서 링크도 포함됩니다.

 

이 원칙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들로,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제가 평소에 많이 쓰는 서비스인 '쿠팡', '네이버', '쿠팡이츠' 같은 유용한 앱들은 이러한 10가지 기준을 잘 충족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앱을 기획할 때 단순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야지'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기준점을 체크해 가며 기획한다면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7주차 실무 과제 중 한 슬라이드

특히 이번 실무 과제에서 이 Usability Heuristics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는 과제도 했었는데 이 사례를 찾아가며 공부하면서 그동안 당연하게 생각했던 서비스의 요소요소들이 다 철저한 계획을 통해 탄생했음을 느꼈습니다.

 

 

더보기

출처


[1] Nielsen Norman Group - 10 Usability Heuristics for User Interface Design (https://www.nngroup.com/articles/ten-usability-heuristics/)
[2] UX24/7 - Jakob Nielsen's 10 Usability Heuristics for User Interface... (https://ux247.com/usability-principles/)
[3] UX Collective - Simplified: Jakob Nielsen's 10 usability heuristics (https://bootcamp.uxdesign.cc/simplified-jakob-nielsens-10-usability-heuristics-36a860c2ac9c)
[4] Uxcel - 10 Usability Heuristics by Jakob Nielsen Lesson (https://app.uxcel.com/courses/design-foundations/usability-heuristics-270) 

728x90